<p></p><br /><br />독감 백신 소식 전해드렸죠. <br> <br>우리 아이에게 달걀 알레르기 있는데, 독감 백신 맞아도 괜찮냐는 문의가 특히 많습니다. <br> <br>달걀 알레르기 있으면 독감 백신을 맞아야 할지 알아봤습니다. <br> <br>보통 어린이는 1.3%, 성인은 0.2% 정도가 달걀 알레르기를 가지고 있는데요. 이런 사람은 피부·호흡기 증상, 심하면 쇼크까지 올 수 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, 독감 백신을 만들 때 유정란, 즉 달걀을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입니다. <br><br><br><br>-먼저 백신용 바이러스를 만들어 <br>-달걀에 주입하고 <br>-배양합니다 <br>-이렇게 증식된 바이러스를 달걀에서 추출해 백신을 만드는데, <br> <br>여기에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'오브알부민'이란 물질이 소량 포함됩니다. <br> <br>그렇다면 달걀 알레르기 있으면 백신 접종, 안 될까요? <br><br>그건 아닙니다. <br> <br>팩트맨이 질병관리청 지침을 확인해봤는데, 우선, 증상 정도를 따져봐야 합니다. <br><br><br><br>평소 달걀에 두드러기가 나는 정도라면 모든 종류 백신 접종 가능합니다. <br> <br>달걀 때문에 숨이 답답하거나 약간의 어지럼증이 나타난다면 의사의 지도에 따라 접종할 수 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달걀 성분에 심한 급성 쇼크 경험이 있다면 접종하면 안 됩니다. <br><br><br><br>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도 같은 기준을 제시합니다. <br> <br>1990년대 이전엔 달걀 알레르기가 있으면 백신을 맞지 말라고 했지만, 이후 백신을 맞아도 문제없었다는 임상 실험 등이 잇따르면서 2016년 이후부터는 국내외 지침이 바뀌었습니다. <br><br><br> <br>그래도 달걀 알레르기가 걱정된다면, 의사와 상의해 달걀 배양 방식이 아닌, 세포 배양 방식의 백신을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. <br> <br>이 밖에도 궁금한 점은 팩트맨! 많은 문의 바랍니다. <br> <br>서상희 기자 <br> <br>with@donga.com <br><br>연출·편집: 황진선 PD <br>구성: 박지연 작가 <br>그래픽 : 장태민, 전유근 디자이너 <br> <br>[팩트맨 제보방법] <br>카카오톡 : 채널A 팩트맨